The Effects of Analogy-Generating in Small Group on Saturated Solution in Elementary Science-Gifted Education 


Vol. 55,  No. 3, pp. 509-518, Jun.  2011
10.5012/jkcs.2011.55.3.509


PDF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영재교육에서 소집단 비유 만들기의 효과를 학생들이 만든 비유의 유형과 대응 오류, 소 집단 비유 만들기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조사했다. 2개 초등학교의 2개 과학영재학급에 소속된 5학년 학생 37명을 선정 하여 각각 개별 비유 만들기(IA) 집단(n=19)과 2인 1조의 소집단 비유 만들기(PA) 집단(n=18)으로 배치했다. 두 집단 학생 들에게 첫 번째 시간에 포화용액 개념에 대한 실험과 개념 학습을 실시한 후, 두 번째 시간에 그 개념에 대한 비유 만들 기 검사를 실시했다. 또한 PA 집단 학생들에게는 소집단 비유 만들기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했으며, 일부 학생들을 대 상으로 이에 대한 심층 면담도 실시했다. 연구 결과, IA 집단보다 PA 집단의 학생들이 글/그림 비유, 구조적/기능적 비유, 부 연 비유, 고체계성 비유를 더 많이 만드는 경향이 있었으나, 상황의 작위성(작위적, 일상적)과 추상도(추상적, 구체적) 항 목에서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IA 집단보다 PA 집단의 학생들이 대응 오류를 더 적게 범했다. PA 집단의 많 은 학생들이 소집단 비유 만들기에 대해 다양한 인지적·동기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했으나, 몇 가지 단점을 지적하 기도 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했다.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November, 2022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J. A. Yoon and H. Kang, "The Effects of Analogy-Generating in Small Group on Saturated Solution in Elementary Science-Gifted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 55, no. 3, pp. 509-518, 2011. DOI: 10.5012/jkcs.2011.55.3.509.

[ACM Style]

Jin A Yoon and Hunsik Kang. 2011. The Effects of Analogy-Generating in Small Group on Saturated Solution in Elementary Science-Gifted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5, 3, (2011), 509-518. DOI: 10.5012/jkcs.2011.55.3.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