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rvey of Inquiry Contexts and Terms about Inquiry Area of Material Science in Secondary School -For the Middle School Science and Chemistry I and II Textbooks- 


Vol. 49,  No. 1, pp. 83-0, Feb.  2005
10.5012/jkcs.2005.49.1.083


PDF
  Abstract

다양한 탐구 학습을 강조하고 있는 제 7차 과학교육과정의 정신이 중등 과학교과서의 화학분야에 제대로 반영되었는지 알아보고 탐구학습의 시사점을 찾기 위해서 탐구영역에 대한 탐구상황 요소들을 미국의 국가교육 성취 평가틀을 참고하여 분석하고 탐구 용어를 조사·분석하였다. 중학 과학의 탐구상황의 분석에서, 8 학년 과학이 7, 9학년 과학에 비해서는 개인적 상황, 사회적 상황, 기술적 상황의 비율이 더 높았으므로 8학 년의 탐구영역의 학습에서 어느 정도 STS적 접근에 의한 탐구학습을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고 등학교 화학 I 및 II의 탐구상황 요소는 너무 과학적 상황에 편중된다. 그러나 개인적 상황이 화학 I과 화학 II 에서 어느 정도 나타난 것은 학습자의 관심을 끌 가능성이라는 면에서 좋은 경향이다. 화학 I이 II보다 사회적· 기술적 상황도가 높은 것은 화학 I과 II 과목의 성격 차이를 잘 보여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탐구영역에 표 시된 탐구용어의 조사 분석에서, 탐구 과정 및 탐구 활동에 특정 탐구요소를 명시한 교과서는 표시된 탐구요 소 외에도 다른 요소를 개발하여 다양한 탐구요소를 활용하도록 함이 좋겠다. 그리고 제 7차 과학교육과정에 서 새로 제시된

  Statistics
Cumulative Counts from November, 2022
Multiple requests among the same browser session are counted as one view. If you mouse over a chart, the values of data points will be shown.


  Cite this article

[IEEE Style]

J. K. Park, K. Yang, D. Kang, J. Lee, S. Jeong, "A Survey of Inquiry Contexts and Terms about Inquiry Area of Material Science in Secondary School -For the Middle School Science and Chemistry I and II Textbook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 49, no. 1, pp. 83-0, 2005. DOI: 10.5012/jkcs.2005.49.1.083.

[ACM Style]

Jong Keun Park, Kiyull Yang, Daeho Kang, Jongwon Lee, and Soogoon Jeong. 2005. A Survey of Inquiry Contexts and Terms about Inquiry Area of Material Science in Secondary School -For the Middle School Science and Chemistry I and II Textbook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49, 1, (2005), 83-0. DOI: 10.5012/jkcs.2005.49.1.083.